IT 자격증 정보의 모든 것


<컬링 점수 계산법 알아보기>


2018 평창동계올림픽!


동계올림픽이 한창인데요~

우리나라에서 활약 중인 종목이 있죠! 

바로 컬링입니다.


컬링은 4명의 선수가 한 팀을 이뤄 두 팀이 컬링 스톤을 빙판 위에서

번갈아 던지면서 진행하는 경기예요.




컬링 스톤을 '하우스'라 불리는 표적 중심에 가장 가까이 넣는 팀이

점수를 가져가는 경기인데요. 아무래도 조금 생소한 스포츠라

많은 분들이 컬링 점수 계산법을 모르시는 것 같아서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

표적인 '하우스'는 4개의 원으로 이뤄져 있는데요.

가장 안쪽에 위치한 원을 '버튼' 혹은 '티'라고 불러요.

상대 팀의 스톤보다 버튼에 가까운 곳에 스톤을 안착시켜야

득점하는데요~ 상대팀보다 버튼에 더 가까운 곳으로 보낸

스톤의 개수만큼 득점할 수 있어요.


하우스 안에 스톤이 들어가도 상대 스톤보다 멀리 있으면

점수에서 제외되며

양 팀 모두 하우스에 스톤을 한 개도 넣지 못할 경우

해당 엔드는 득점 없이 무승부 처리되어 종료된답니다.




각 엔드마다 8번씩 스톤을 던질 수 있고

각 엔드에서 얻은 점수를 합산하여 승리 팀이 결정돼요.


경기는 총 10엔드까지 진행된답니다.


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은 컬링 강호인 스웨덴을 제압하며

공동 1위를 차지하고 있어요.


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 출전한 컬링 10개국 팀은 예선에서

한 번씩 경기를 치른 후 3위에 들어야 플레이 오프에 출전할 수 있는데요.

1위로 플레이오프로 진출하면 4위와 결승행을 치를 수 있어 

더욱 유리한 고지에 서게 돼요.


대한민국 컬링팀의 선전을 기원합니다!